유지보수
일상관리 및 점검

보수의 중요성

관리책임자 선정
  • 엘리베이터 관리 책임자를 선정 명시하고 관리책임자로 선정된 사람은 긴급한 경우에 관계부서와의 연락방법 및 긴급조치 등을 명확히 숙지하여 주십시오.또, 만일 관리자 부재의경우를 대비하여 대리인도 선정하여 주십시오.
기계실
  • 기계실 문은 꼭 잠그고 담당자 이외의 사람은 출입을 금지시켜 주십시오. 기계실 및 출입구 부근에 통행에 방해가 되는 물건을 놓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기계실 내부
  • 눈 및 빗물이 창문 및 기타 환기구로 누수되어 기계실의 운행장치(모터, 제어반 등)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전기 화재용 소화기를 비치하시기 바랍니다.
승강장
  • 엘리베이터 내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승강기에 재떨이를 비치하여 주십시오. 승강장 물청소시 안으로 물이 들어가면 정상운행에 영향을 주므로 사전에 예방조치 하시기 바랍니다.
엘리베이터내부
  • 엘리베이터 천장에 있는비상구 출구를 이용하여 긴 물건을 운반해서는 안되며, 이삿짐이나 무거운 물건(피아노 등)을 부득이 운반할 경우에는 바닥 및 벽면에 보호판을 대고 사용하십시오.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안전운행에 관계되는 유인물만 부착하십시오.

일상점검의 중요성

  • 승강기의 안전한 운행과 품질유지를 위하여
  • 승강기의 수명연장과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키 위하여

승강기의 일상점검

운전상태의 확인
  • - 승강기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다.

    (1)승강장 호출버턴 동작

  • ① 호출버턴을 누르면 버턴이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 ② 승강기가 도착하고 호출버턴이 소등되는지 확인한다.
  • ③ 도착층에서 호출버턴의 점등이 승강기의 방향과 동일할때 소등되고 반대방향일때에는 점등된채로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2)표시장치의 상태

  • ① 승강장 및 카내의 층표시와 운전방향표시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 ② 승강장의 홀랜턴이 정상점등 되는지 확인한다.

    (3)카내버턴의 동작

  • ① 행선층버턴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 ② 도어열림 및 닫힘버턴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 ③ 인터폰버턴의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4)도어장치

  • ① 열림 및 닫힘동작을 확인한다.
안전장치의 점검
  • - 승강기의 안전장치중 외부에서 확인가능한 기능 및 운행에 영향을 주는 기능을 확인한다.

    (1)승강장 호출버턴 동작

  • ① 호출버턴을 누르면 버턴이 점등되는지 확인한다.
  • ② 승강기가 도착하고 호출버턴이 소등되는지 확인한다.
  • ③ 도착층에서 호출버턴의 점등이 승강기의 방향과 동일할때 소등되고 반대방향일때에는 점등된채로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2)도어열림버턴

  • - 카내의 도어열림버턴은 닫히거나 닫혀있는 도어를 강제로 열어주는 안전스위치다.
  • ① 도어가 닫히는 도중이거나 닫혀있을 때 작동시 도어가 열리는지 확인한다.
  • ② 문닫힘안전장치 누름새의 반력은 적당한지 확인한다.

    (3)승강장호출버턴의 리오픈 기능

  • - 카내의 도어열림버턴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 ① 승강기의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승강장호출버턴을 누르면 도어가 닫힘동작을 멈추고 즉시 열리는지 확인한다.
  • ② 승강기의 운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호출에만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4)수동조작반 잠금장치(카내 조작반)

  • - 수동조작반내에는 여러가지 운전스위치가 있어서 일반인이 잘못 조작하는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항상 잠겨져 있어야 한다.

    (5) 인터폰

  • - 인터폰은 정전 또는 고장으로 승객이 승강기내에 갇힌 경우 외부와 연락하는 장치로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 ① 인터폰이 관리인이 상주하는 곳과 항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② 인터폰은 매우 중요한 장치로 매일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 ③ 1999년 9월 3일 개정된 검사기준에서 외부에 설치되는 통화장치(인터폰)는 경비실이외에도 관리실이나 전기실, 유지보수업체 사무실등으로 복수설치하거나또는 경비실에만 인터폰을 설치하고 외부에서 쉽게알수 있도록 부저와 경광등이 경비실 외부 가까이 또는 기준층 승강장에 설치하여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신규설치 현장은 의무설치)

    (6) 기계실 잠금장치

  • ① 기계실은 승강기의 정상운행 제어와 운행중인 승강기를 급정지, 층간정지, 강제추락등의 조작이 가능한 곳 이므로 관계자외에는 누구도 출입할 수 없도록 키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② 최근에는 안전사고 및 승강기 부품의 도난사고가 많아 특히 키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성능의 확인
  • - 승강기가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운행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한다.

    (1)도어장치

  • ① 도어의 움직임에 걸림이 없는지 확인한다.
  • ② 도어개폐 및 대기시간의 속도가 적당한지 확인한다.
  • ③ 도어 작동시 소음이 없는지 확인한다.
  • ④ 각층 도어 문턱홈(실홈)에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 후 제거한다.

    (2)착상정밀도

  • - 승강기가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의 바닥면과 카의 바닥면의 높이차가 어느정도인지를 말한다.
  • - 착상오차가 크면 승객이 오르고 내릴때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시로 확인한다.
  • (적 정착상오차 : ±10mm 이내)

    (3)기동(출발), 감속, 정지시 쇼크 및 주행진동, 소음

  • ① 주행중 진동 및 소음이 있는지 확인한다.
  • ② 기동 및 정지시 쇼크가 있는지 확인한다.

    (4)과부하감지장치(overload s/w)

  • - 승강기의 적재인원을 초과하여 탑승한 경우(만원) 경보가 울리고 도어가 닫히지 않으며 출발하지 않아야 한다.

    (5)승강장도어 인터록장치

  • ① 승강기가 운행중 승강장도어가 열리는지와 열림간격을 확인한다.
    (열리거나 열림간격이 크면 보수업체에 보수의뢰)
  • ② 승강장도어가 비상해제키로만 열리는지 확인한다.
승강장
  • 엘리베이터 내 금연을 유도하기 위해 승강기에 재떨이를 비치하여 주십시오. 승강장 물청소시 안으로 물이 들어가면 정상운행에 영향을 주므로 사전에 예방조치 하시기 바랍니다.
엘리베이터내부
  • 엘리베이터 천장에 있는비상구 출구를 이용하여 긴 물건을 운반해서는 안되며, 이삿짐이나 무거운 물건(피아노 등)을 부득이 운반할 경우에는 바닥 및 벽면에 보호판을 대고 사용하십시오.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안전운행에 관계되는 유인물만 부착하십시오.

엘리베이터의 일상점검

운전자 점검
  • ① 스텝 및 콤브가 깨지거나 금간곳이 있는지 확인한다.
  • ② 스텝 및 콤브에 이물질이 끼어있는지 확인한다.
  • ③ 스텝 및 콤브의 빗살이 빠져있는지 확인한다.
  • ④ 스커트가드의 연결부위가 어긋나 있는지 확인한다.
  • ⑤ 스텝과 스커트가드의 틈새가 정상인지를 확인한다.
  • ⑥ 핸드레일이 손상된 부위가 있는지 확인한다.
  • ⑦ 삼각보호판이 견고히 붙어있는지 확인한다.
  • ⑧ 추락보호용 난간이 견고한지 확인한다.
운전중 점검
  • ① 운전중에 평소와는 다른 소음 및 진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 ② 핸드레일의 속도가 스텝의 속도와 동일한지 확인한다.
  • ③ 스텝의 홈과 콤브의 빗살이 정확히 맞추어 들어가는지 확인한다.

TOP